소개 : http://www.nextree.co.kr/p3241/


하루만에 끝내기 : http://soomong.net/blog/2014/01/20/translation-ultimate-guide-to-learning-angularjs-in-one-day/

테마 모아놓은 사이트이다.


이중 하나로 작업 진행 할 예정이다. 귀찮겠지?ㅠ


https://wrapbootstrap.com/themes/admin

'WEB > 트위터부트스트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decademy 웹 페이지 구성  (0) 2014.07.06

먼저 윈도우 7에 아래 링크에 프로그램으로 실행하여 OEM 파일을 백업받는다.


http://snoopy-textcube.blogspot.kr/2010/03/%EC%9C%88%EB%8F%84%EC%9A%B0-7-oem-dvd-%EB%A7%8C%EB%93%A4%EA%B8%B0.html




두개의 파일이 생성된다.


ProductId.txt 파일을 열어보면 CD-KEY가 입력되어 있다.


SECCSD_V2.1_Cert.xrm-ms 파일을 해당위치로 이동시킨다.(절대경로로 입력)



예) C드라이브에 있다고 가정하고

1. cmd 관리자 모드로 실행

2. 아래 명령어 실행

 

slmgr /ipk CD-KEY

slmgr /ilc C:\SECCSD_V2.1_Cert.xrm-ms


두줄을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인증이 된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함수 모아놓은 사이트

http://www.trirand.com/jqgridwiki/doku.php?id=wiki:methods



- Data

jQuery("#myGrid").jqGrid('getRowData') -> grid의 모든 json data를 가지고 온다.



- Header

var sortName = jQuery(gridId).jqGrid('getGridParam','sortname'); -> 해더 타이틀을 가지고 온다.

var sortOrder = jQuery(gridId).jqGrid('getGridParam','sortorder'); -> 해더 정렬 순서를 가지고 온다.



'WEB > jqGr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jqGrid] 속도 개선  (0) 2014.01.29
[jqGrid] 정렬 기능 정리  (0) 2014.01.19

1. 개요


해더를 클릭하여 jqGrid 정렬이 가능하도록 구현하고 싶다.


현재 상태는  

datatype: "local" 로 설정되어 있어 해더를 클릭하면 아무런 반응이 없다.??


jqGrid example site에서는

http://trirand.com/blog/jqgrid/jqgrid.html



datatype: "json" 로 요청하도록 구현되어 있어 url 콜할시에 몇가지 파라미터에 대한 처리가 서버측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해당 해더를 클릭 하면 


_search=false& -> 검색?

nd=1390035776716&

rows=20& -> 한줄 개수

page=1& -> 페이지 

sidx=& -> 컬럼 id

sord=asc -> 정렬 타입


파라미터가 같이 포함되서 넘어가게 됨.


2. 고민


1. client에서 받은 데이터를 바로 정렬할 수 없는 건가?

2. server측에서 쿼리를 변경해서 요청해야 하는건가?

3. paging처리도 같이 고민해봐야 하는데???


3. 해결 방법


3.1 client에서 받은 데이터를 바로 정렬할 수 없는 건가?


엄청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아오 빡!!!(열받았음)

datatype: "local"  에서는

해더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index(sortname)와 sortorder로 자동으로 정렬한다.

단 ) JSON의 ProperyName과 Index가 같거나 index를 생략하면 내부적으로 JSON을 정렬한다.


colModel의 index는 json 요청할 때 필요한 디비와 다를경우 붙여주는것 같다.






'WEB > jqGr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jqGrid] 속도 개선  (0) 2014.01.29
[jqGrid] 함수  (0) 2014.01.19

java 프로그래머를 위한 URL 실전에서는 이것만 쓴다

Statement를 사용하지 말고 PreparedStatement를 사용하라고 권장 하더라..


아래는 예제


public void add(User user) throws ClassNotFoundException, SQLException{

Class.forName("com.mysql.jdbc.Driver");

Connection c = DriverManager.getConnection("jdbc:mysql://localhost/test", "sa", "pw!");

PreparedStatement ps = c.prepareStatement("insert into users(id, name, password) values(?,?,?)");

ps.setString(1, user.getId());

ps.setString(2, user.getName());

ps.setString(3, user.getPassword());

ps.executeUpdate();

ps.close();

c.close();

}

public User get(String id) throws ClassNotFoundException, SQLException{

Class.forName("com.mysql.jdbc.Driver");

Connection c = DriverManager.getConnection("jdbc:mysql://localhost/test", "sa", "pw!");

PreparedStatement ps = c.prepareStatement("select * from users where id = ?");

ps.setString(1, id);

ResultSet rs = ps.executeQuery();

rs.next();

User user = new User();

user.setId(rs.getString("id"));

user.setId(rs.getString("name"));

user.setId(rs.getString("password"));

rs.close();

ps.close();

c.close();

return user;

}

try {
   Enumeration<NetworkInterface> e= NetworkInterface.getNetworkInterfaces();
            while(e.hasMoreElements())
            {
                NetworkInterface n = e.nextElement();
                Enumeration<InetAddress> ee = n.getInetAddresses();
               
                while(ee.hasMoreElements())
                {
                    InetAddress i= (InetAddress) ee.nextElement();
                    String ip = i.getHostAddress().toString();
                   
                    StringTokenizer str = new StringTokenizer(ip, ".");
                    if(str.countTokens() == 4){
                     if(!ip.equals("127.0.0.1")){
                      System.out.println(ip);
                     }
                    }
                }
            }
  }
  catch (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o Set 객체

 - HashSet : 동기화 안됨. 가장 빠른 집합. HashMap 보다 느리지만 Se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있다.
   HashMap 은 Set 이 아니라 Map 이다.
 - TreeSet : 동기화 안됨. HashSet보다 느리다. 차례대로 키를 사용할 수 있다. (키가 정렬됨)
 
o Map 객체
 - HashMap : 동기화 안됨. 가장 빠른 매핑.
 - Hashtable : 동기화 됨. HashMap 보다 느리지만 동기화한 HashMap 보다 빠르다.
 - TreeMap : 동기화 안됨. Hashtable 과 HashMap 보다 느리다. 차례대로 키를 사용할 수 있다. (키가 정렬됨)
 
o List 객체
 - ArrayList : 동기화 안됨. 가장 빠른 리스트.
 - LinkedList : 동기화 안됨. 다른 리스트보다 느리지만 큐로 이용했을 경우 더 빠를 수도 있다.
   느린 이유는 ArrayList나 Vector, Stack 과 달리 array 계열이 아니기 때문.
 - Vector : 동기화 됨. ArrayList 보다 느리지만 동기화한 ArrayList 보다 빠르다.
 - Stack : 동기화 됨. Vector 와 동일한 속도. LIFO 큐 기능을 제공한다.

mysql의 스토리지 엔진 중(MyISAM, InnoDB) InnoDB에 관련 된 데이터 복구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본래 InnoDB는 Mysql이 손상되어도 .frm 파일과 ibdata1파일만 존재하여도 복구가 가능하다.(이 방법은 아주 간단하므로 설명 제외)

이번에 설명할 내용은 ibdata1 인 데이터 파일이 손실될 경우에 복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이다.
Mysql은 정상 시작시 파일의 유무 및 다른 파일등을 검사한다.
하지만 파일이 손상되었을 경우 시작하자마자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중단한다.
이에 InnoDB는 파일의 검사 등을 하지 않고 강제로 서비스를 시작하여 복구하는 모드가 따로 존재한다.
윈도우 기준으로 Mysql 설치 폴더/my.ini 이하 my.ini 파일에 innodb_force_recovery라는 명령어를 추가 시켜 주고 서비스를 재시작 하면 강제 복구 모드로 설정된다.
예) innodb_force_recovery = 1
숫자는 1에서 6까지 사용 가능하며, 1이 가장 안전하고 좋은 복구 모드이고, 1에서 복구가 안된다면 1~6까지 순차적으로 값을 바꿔가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http://www.mysqlkorea.co.kr/sub.html?mcode=manual&scode=01&m_no=21875&cat1=14&cat2=422&cat3=442&lang=k 를 참고 하길 바란다.

위와 같이 프로그램을 시작하면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시작하게 되며 그후에 dump로 파일을 백업 시킬 수 있다.
덤프 명령어는 Mysql설치폴더/bin에서 mysqldump -u계정명 -p 데이터베이스명 > 백업할파일.sql 로 하면 백업이 되고
반대로 mysqldump -a -u계정명 -p 데이터베이스명 < 백업할파일.sql 이와 같이 하면 복원이 된다.

만약 1이 아닌 복구 모드로 실행시 파일이 전체적으로 백업되지 않았을 경우 복구 모드에 우선순위를 높여 select 명령어로 검사후 csv파일로 저장
저장 후 벌크 인서트로 파일 다시 불러옴
벌크는 http://kr.blog.yahoo.com/freud19390723/79 를 참고

복원이 완료 된 후에는 innodb_force_recovery = 1를 삭제후 프로그램 재시작을 한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파일이 손상된 경우
1. 서비스 시작 중지
2. my.ini파일에 innodb_force_recovery = 1~6 값 설정 후 저장
3. 서비스 시작
4. 서비스 시작시 정상 동작이면 6. 아니면 5.
5. 정상 동작이 아닐경우 다른 복구 모드를 선택하여 서비스 시작
6. 정상 동작일 경우 mysqldump로 파일 백업
7. 높은 우선순위로 변경하여 파일로 저장후 벌크 인서트로 다시 넣음
8. 복구 모드 삭제 후 서비스 재시작

'DB > My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리눅스 Mysql 데이터베이스 백업  (0) 2015.12.22
외래키 무시, 안전 모드 무시  (0) 2015.07.17
Mssql -> Mysql 마이그레이션  (0) 2015.05.08
[mysql] 한글 설정(utf-8)  (0) 2014.09.22
mysql 권한 주기.  (0) 2013.02.08

+ Recent posts